교회 라틴어 발음(현재 바티칸에서 사용하는 발음)
저번에는 고전 라틴어 발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로마 제국 멸망 이후 라틴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없어졌기 때문에
라틴어를 사용하는 로마제국 원어민의 발음을 육성으로는 확인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로마제국 멸망 이후로도
언어의 사회성과 역사성으로 인해
라틴어는 심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그렇게 해서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이 분화되었고,
가톨릭 교회에서는 라틴어를 공용어로 정해서
심한 변화를 겪지 않도록 나름 라틴어의 모습을 유지하며
오늘날까지 사용해왔습니다.
교회 라틴어 발음은 고전 라틴어와 대부분 같은데
차이가 나는 부분들만 짚어보겠습니다.
* 이중모음 ae, oe는 '에'로 발음합니다.
* c, g는 모음 e, ae, oe, i, y(즉 '에'나 '이' 발음)와 결합할 때 ㅊ, ㅈ 소리가 납니다.
예를 들면 cicero 치체로,
germania 제르마니아
caelum 첼룸
* sc는 e, ae, oe, i, y와 결합할 때 쉬 소리가 납니다.
crescendo 크레쉔도
descendit 데쉔딧
scientia 쉬엔시아
* xc는 e, ae, oe, i, y와 결합할 때 ㅋ쉬 소리가 납니다.
excellentia 엑쉘렌시아
*gn은 이탈리아어에서와 같이 니 소리가 납니다.
gnocchi(이탈리아어) 뇨끼
gnosis 뇨시스
agnus 아뉴스
agnes 아녜스
magnus 마뉴스
magna 마냐
ignatius 이냐시우스
*h는 묵음으로 발음 안하거나 약하게 ㅎ 소리 내기도 합니다.
halleluia 할렐루야/ 알렐루야
(원래 라틴어가 아닌 히브리어 외래어로서 alleluia로도 씁니다)
honoratus 호노라투스/오노라투스
*i와 j는 똑같이 '이' 소리인데 j는 자음입니다.
고전 라틴어에서는 j가 없이 i만 사용했는데
교회 라틴어에서는 문헌에 따라 i만 사용하기도 하고 i와 j를 구분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ti+모음의 경우 ti는 '시' (혹은'찌, 치') 소리가 납니다.
gratia 그라시아(그라찌아, 그라치아)
natio 나시오(나찌오, 나치오)
Terentius 테렌시우스(테렌찌우스, 테렌치우스)
Terentii 테렌시이(테렌찌이, 테렌치이)
예외!: ti 앞에 s나 x, 즉 '스' 소리가 있으면 ti는 그대로 '티'가 됩니다.
그리고 ti에 액센트가 있는 경우도 그렇습니다.
bestia 베스티아
quaestio 퀘스티오
totius 토티우스('티'에 액센트)
totiusque 토시우스퀘('우'에 액센트)
*v는 영어와 같은 v 소리가 납니다.
veni vidi vici 베니 비디 비치
veritas 베리타스
adventus 아드벤투스